연말시즌 세액공제 16.5%%(확정수익) 혜택 꼭 챙기세요
매년 연간 900만원까지 16.5% ~ 13.2% 세액공제 혜택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
*세액공제 혜택의 강력한 장점 요약
1) [세액공제] = [확정 수익]으로 해석 할 수도 있는 초 강력 제도입니다.
2) [배당금] 비과세 혜택
3) 연금저축 계좌 원금을 증액시키는 Skill
(ISA 계좌를 활용한 3년 주기 증액)
매년 마다 한도가 정해져있으며, 활용하지 않으면 휘발성으로 소모되어 버리는 정책이며 이는
1년 마다 한정된 금액 내에서 반복하여 활용이 가능한 확정 수익 가능한 옵션으로 해석 할 수도 있는 부분으로, 저는 매년 이 금액을 최우선 1순위로 활용하고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우선순위 투자 선택지 대상입니다.
구체적 활용 ex)
매년 연간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활용이 가능합니다.
소득에 따라 (총 급여 기준)
5,500만원 이하 : 16.5% 세액공제 (확정 수익으로 생각)
5,500 만원 초과 : 13.2% 세액공제 (확정 수익으로 생각)
체감되기 쉽게 100만원 세액공제 활용 예시를 살펴보면
매년 연말 12월까지 연금저축 / IRP 계좌로 이체만 우선 해놔도
일반적으로 다음해 3월 정도에 [연말정산]으로
=16.5% 금액인 165,000원 ~
=13.2% 금액인 13,2000원을
국가 세금으로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즉 활용하기에 따라서 (저의 경우도 해당 방식을 선호)
연말 시즌에 연금저축 계좌 / IRP 계좌로 세액공제 한도 금액을 이체하여,
다음해 3월 정도에 13.2% ~ 16.5% 세액공제 환급을 확정적으로 받는 것은 잘 생각해보면 엄청난 혜택이 아닐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세상에 확정적으로, 그것도 국가가 보장하여 세금으로 13% 이상의 수익 혜택을 얻을 수 있는 투자 대상이 과연 있을까요?
(어떤 상품을 이렇게 광고한다면 99.9% 사기입니다.)
물론 세액공제라는 것은 [납부한 세금]에서 환급하여 주는 것이기 때문에
돌려받을 세금이 있어야 가능하며, 많은 분들이 단점으로 꼽는
그건 너무나 먼 미래의 노후에나 쓸 수 있는 돈이고, 급하게 돈일 필요할 때 뺄 수 없다. <<< 특히 이 부분 때문에 활용을 망설이시는데
사실 16.5% 세액공제를 받으신 납부자(투자자) 입장에서는 너무 급박한 상황이 생긴다면 받았던 16.5%를 다시 납부하고 [원금]을 활용할 수 있으니
급할 때 뺄 수 없다라는 부분은 IRP 계좌에는 해당되지만
(IRP는 55세까지 출금 불가)
연금저축 계좌에도 적용되는 말은 아닙니다.
(단 총 소득이 5,500만원 이상인 경우 13.2% 세액공제를 받으신 분들이
불가피한 사유로 연금저축 계좌에서 출금 시 13.2% 세액 공제를 받았던 금액이 아닌, 16.5% 금액을 뱉어 내야 한다고 하는데 이 부분은 아마 전산 적으로 구분 처리가 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보이며 개선 되야 할 과제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연금저축 계좌를 주로 [배당금 비과세]를 받기 위해서 연간 한도인 1,800만원을 꽉 채워서 활용하시는 경우들도 많은데, 이 경우
세액공제 대상 금액인 연간 900만원 한도 외 금액인, 추가 납부한 900만원 납입 금액에 대해서는 연금저축 계좌에 들어있더라도 출금 시 불이익, 터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