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당금 한푼안나오는 금에도 투자하는 이유
1.포트폴리오를 안정적으로 만들어주는
알려진 장점 외에도
2.자본주의 국가들이
한정된 대상 (금, 땅, 물건 등)과
교환하는 매개체 역할로 만들어낸 종이 화폐를
계속 증가시킨다면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 교환 대상이 되는
물건, 대상들의 가격이 6개월 이내
오르는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 입니다.
화폐의 유일한 목적이
물건과 교환을 쉽게하기 위해
만들어낸 물질인데
화폐의 총량을 만약
1년에 걸쳐 2배량으로 늘리면
교환 대상들의 가치는? 2배가 되는 논리
이 돈의량을 더 늘리는 선택들을
자본주의 국가들은
얼마나 오래 해왔는지
25년도에는 어떠할지
향후 10년은 어떠할지
그렇다면
한국돈으로 들고있는것과
금을 자산중 일정 비중으로 들고있는것은
현금성 자산의 구매력 유지 관점에서
유리한 선택일까?를
고민하는 부분상
최소 1% ~ 7.5% 비중은
단기적으로야 투자대상의
변동성이 높은 금이지만
향후 5년, 10년, 30년 관점에서
재무적 안정성 면에서
분명
한국화폐 100% 보다
안정적이고 유리한 선택이 될것이다
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주식, 리츠의
수호병 역할은 덤 정도로 생각하는 옵션입니다
(이 부분도 상당한 혜택)
반응형
'3. 투자 전략 & 생각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X 금 (한국 괴리률 +23%.. 김치 프리미엄) (0) | 2025.02.14 |
---|---|
목표를 이루는 검증된 치트키, 활용 하느냐 안할것이냐 인생은 선택의 연속 (2) | 2025.01.20 |
Schd 24년도 각 분기별 배당금 상승률 계산 / 24년도 배당금 상승률 +12.2% (전년 대비) / 연 평균 배당금 상승률 +11.5% (0) | 2025.01.01 |
Schd 24년 1~4분기 각분기 배당금 성장률 & 연간 배당금 성장률 요약 (1) | 2024.12.31 |
한국 주식 위기대응 메뉴얼 (계엄령, 외국인 이탈 이슈) (2) | 2024.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