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24년 연간 배당금 7% 수준이 유력한 이유
① 고 실적 & 고배당주 실적 분석 (너무 좋은 실적)
② 지난 5년간 배당금 & 실적 상승률
※ 24년 상반기 (1~3분기) 실적 비교 (전년 동기간 대비)
24년 영업이익 : 2조 9,833억 (+8% 증가) (+2,507억 증가)
23년 영업이익 : 2조 7,326억
24년 순이익 : 2조 1,786억 (+2% 증가) (+567억 증가)
23년 순이익 : 2조 1,219억
※ 24년 3분기 실적 비교 (전년 동분기 대비)
24년 영업이익 : 1조 1,260억 (+16%)
23년 영업이익 : 9,685억
24년 순이익 : 8,035억 (+10%)
23년 순이익 : 7,315억
*실적 요약
3분기 영업이익 상승률이 높았다. +16%
3분기 순이익 상승률도 높았다. +10%
1~3분기 영업/순이익 합계 상승률은
전년 대비 좋았으나, 그리 큰 차이는 없었다.
*25년 금융산업 환경변화
한국은 기준 금리를 2~3차례 더 인하 할 확률이
높은 시장 환경으로 현재 3% 기준금리가
2.5% 내외 수준이 될 확률이 높다.
그런 환경에서 실적 좋은 메이저 금융 기업들의
배당률이 7% 수준이 된다는 것은
[예금 3% 미만] vs [배당주 7% 이상]
차원으로 점진적으로 진행 될 확률이 높으며
현재 한국은 투자 심리적으로 최악의 구간을
겪고 있다고 생각되는 시기이기도 하지만
결국 실적이 꺽이지 않은 자본주의 필수산업
기업들의 배당률이 오히려 상승해 버리고
금리는 오히려 낮아져 버린다면
더 이상의 악재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서
예금 / 배당주의 금리 Gap이 발생해갈수록
돈들은 이동하고 싶어 할 확률도 점점
증가하게 될 환경이 진행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① 지난 5년간 [배당금]
24년 |
23년 | 984원
22년 | 960원
21년 | 780원
20년 | 471원
19년 | 670원
② 지난 5년간 [순이익] 변화
24년 | 2조 1,786억
23년 | 2조 4,115억
22년 | 2조 7,808억
21년 | 2조 4,259억
20년 | 1조 5,479억
19년 | 1조 6,143억
③ 지난 5년간 [영업이익] 변화
23년 | 3조 4,322억
22년 | 3조 7,748억
21년 | 3조 2,313억
20년 | 2조 1,255억
19년 | 2조 2,279억

'2. 한국 배당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 하이닉스 | 24년 연간 & 4분기 실적 (전년 대비 변화) | 지난 5년 실적 변화 (1) | 2025.02.01 |
---|---|
삼성전자 | 24년 연, 4분기 실적 (전년 대비 성장률) & 지난 5년 실적 변화 (0) | 2025.02.01 |
Plus 고배당주 25년 1월 배당금 지급액 / 지급일, 지난 5년 배당금 변화 (2) | 2025.01.01 |
우리금융지주 24년 배당금 인상이 유력한 이유 (인상률은 어느정도 될까) (0) | 2024.12.31 |
우리금융지주 2024년 주요 호재/악재 및 2025년 전망 (1) | 2024.12.27 |
댓글